[앵커]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에너지 사업이었죠.'동
페이지 정보

본문
[앵커]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에너지 사업이었죠.'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이 이재명 정부에서도 계속 추진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1차 탐사 시추에 대한 정밀 분석 결과가 이번 달 발표될 전망인데요.새 정부의 경제성 판단이 관건입니다.최지숙 기자입니다.[기자]지난해 '대왕고래 프로젝트'로 관심을 모은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7개의 유망구조 중 가장 규모가 큰 '대왕고래'의 첫 탐사 시추가 사실상 빈손으로 끝난 가운데, 일단 다른 유망구조에 대한 후속 절차를 진행하기로 한 상태입니다.석유공사에 따르면 현재 1차 시추 과정에서 획득한 시료 등을 정밀 분석 중인데 이달 중간 결과 발표 후, 8월에는 최종 결과가 나올 예정입니다.2차 시추부터는 해외 투자를 유치한다는 구상으로, 오는 20일까지 해외사업자 입찰을 진행하고, 다음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게 됩니다.당초 석유공사는 5공 시추를 계획했지만 새 정부의 지원 여부가 관건이 된 상황.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첫 국정 브리핑에서 동해 원유·가스전 개발을 핵심 과제로 발표한 뒤 '사기 시추'라고 비난하는 등 비판적 입장을 유지해 왔습니다.<이재명 대통령> "(GPU) 최고급 사양 3천 장을 살 수 있는 돈을 이 대왕 사기 시추 한 번 하는 데 다 털어넣은 겁니다."에너지 정책 기조도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환을 내건 상태입니다.다만 국정운영의 주체가 뒤바뀐 만큼, 무조건적 폐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가스전 사업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신중한 입장을 취할 거란 관측도 있습니다.가스전 개발에 속도를 내는 일본과, 이를 빌미로 한 중국의 영해 확장 시도 또한 고려 요인입니다.정부 방침과 첫 시추 정밀분석 결과 등에 따라, 동해 가스전 사업이 후속 추진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시선이 쏠립니다.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영상취재 이덕훈][영상편집 강태임][그래픽 김두태]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최지숙(js173@yna.co.kr)[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국가인권위원회가 도내 지자체 등 전국 120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직권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지자체가 시행하는 대학생 행정 인턴 사업이 '학력 차별'을 조장할 수 있다는 건데, 박명원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최근 춘천과 삼척, 인제 등 도내 일부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가인권위원회가 직권조사에 나섰습니다.대학생 대상 행정 인턴이나 실습공무원 체험 프로그램을 들여다 보기 위해섭니다.조사대상은 도내 3곳을 비롯해 전국 120곳으로 알려졌습니다.직권조사는 인권침해나 차별행위의 내용이 중대하다고 인정될 때 제한적으로 행해지는데,인권위는 이번 사안을 무겁게 보고 지난 4월 직권조사를 결정했습니다.핵심은 지자체 청년일자리 사업의 학력 차별 문제입니다.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 "(직권조사)이전에도 국가인권위원회로 행정 인턴에서 대학생, 그러니까 비대학생을 차별한다는 진정 사건이 접수가 되었었고요. 저희가 2022년도 2023년도에 권고를 한 적이 있습니다. 직권조사를 좀 할 필요가 있지 않겠냐 해서.."취재진이 입수한 조사 내용에는, 대학생 행정 인턴과 대학생 직무 체험, 대학생 아르바이트, 부업 대학생 등 각종 행정 인턴 사업 지원 자격에서 비 대학생과의 차별 여부가 담겼습니다. /앞서 국가인권위는 지난해 대학생 대상 행정 인턴 등 사업에서,'직무 특성상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학생으로 지원 자격을 제한하지 않을 것'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권고 이후 관련 조례를 개정하거나 폐지한 지자체도 있지만, 아직 일부 지자체는 권고를 이행하지 않고 있는 상황.A 지자체 관계자 "조례에 관련 근거가 있고요. 저희가 계속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사업입니다. (인권위에서) 특별한 의견이 온다고 하면 저희가 그 이후에 내용을 검토를 할텐데 현재로서는.."춘천시의 경우 대학생 행정 체험 사업을 통해 연간 140명의 대학생에게 행정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데,관련 예산은 연간 2억 원이 좀 넘습니다. 삼척시와 인제군도 관련 프로그램을 계획대로 시행중입니다.[인터뷰] 김보건 춘천시의원 "고졸자나 대학생들도 모두 똑같은 청년이고 춘천 시민이기 때문에 모두에게
- 이전글Essentially the most (and Least) Effective Ideas In BREGUET 25.06.10
- 다음글The Damage A Leaking Roof Accomplish 25.06.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