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으로 결정됐다. 13일 서울 시내의 한 카페에서 일하는 종업원들. 연합뉴스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소폭 인상된 1만 320원으로 확정되자 부산 소상공인과 노동자 등이 다른 시선으로 우려를 보내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때보다 위축된 경기가 더 악화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민주노총은 “최저임금이 최저 생계 수준에도 못 미친다”며 정부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13일 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2차 전원회의에서 노사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2.9% 인상한 1만 320원으로 합의했다. 노사가 합의로 최저임금을 정한 건 2008년 이후 17년 만이다. 내년도 최저임금의 월 환산액(월 노동시간 209시간 기준)은 215만 6880원이다.이인재 최저임금위원장은 회의 후 “우리 사회가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이견을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저력이 있음을 보여준 성과”라고 평가했다.하지만 최저임금 결정의 열쇠를 쥔 공익위원들의 주도로 사실상 최저임금 액수가 결정되면서 노동계 대표의 절반에 해당하는 민주노총이 회의를 보이콧해 반쪽 합의에 그쳤다.민주노총은 지난 10일 성명서를 내고 “지난해 기준 비혼 단신 가구의 생계비는 263만 원으로, 2026년 최저임금은 최저 생계비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며 반발했다. 한국노총도 “정부는 저임금 노동자 생계비 부족분을 보완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경영계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며 “그동안 최저임금 동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으나 내수 침체 장기화로 민생경제 전반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현실을 고려해 이번 최저임금 결정에 합의했다”고 밝혔다.부산에서도 엇갈린 시선으로 우려가 이어졌다. 부산 경영계는 폐업 직전에 몰린 소상공인 실태를 외면한 것이라 지적하며 최저임금 인상이 결국 물가 상승을 부추길 것이라고 진단했다. 부산경영자총협회 김덕중 본부장은 “부산은 14만 개 사업장 중 5인 미만 사업장이 64%를 차지하는 도시”라며 “이번 최저임금 인상은 영세 사업주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경기 침체 늪에 빠진 소상공인 부담을 덜어줄 실효성 있는 정책이 뒤따라야 연극 '더러운 손' 출연진, 제작진 / 사진=사자자리 혼돈의 시대 속 이념과 신념, 그리고 인간성에 대한 깊은 고찰을 한국적인 각색과 잘 정돈된연출로 보여준다. 2시간이란 공연 시간이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은 수작이라 부를 만 하다.11일부터 13일까지 공연장 비인에서 열린 제주 극단 사자자리의 신작 '더러운 손'은, 프랑스의 철학자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가 1948년에 발표한 동명의 희곡(Les Mains sales)을 공연했다.이 작품은 전쟁 중인 동유럽의 가상 국가가 배경이다. 부유한 집안에서 나고 자란 주인공은 이상을 꿈꾸며 공산주의 정당에 투신한다. 정당의 대표 격인 서기장은 전쟁 막바지에 다른 정치세력과 협상을 통해 국정 안정을 추구한다. 이런 시도를 용납할 수 없는 주인공은 당 안에서 서기장 암살 임무를 받고 비서로 잠입한다. 주인공은 서기장의 진솔한 언행에 감화되지만, 주인공의 아내와 서기장이 정을 통하면서 가까스로암살에 성공한다. 주인공은 수감 생활을 끝내고 출소했지만, 그에게 암살 임무를 내린 옛 동료들은 오히려 주인공을 제거하려 든다. 무엇보다 숨진 서기장이 추진하려던 방향이 그대로 유지된 것을 확인하면서, 주인공은 극도의 혼란과 함께 비로소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한다.사자자리의 '더러운 손'은 원작의 줄거리를 거의 온전히 유지하면서, 2025년 한국 상황에 어울리도록 각색했다.전쟁 중인 20세기 말 동유럽의 가상 국가는 21세기 대한민국으로 설정했다. 원작의 파시스트 정당은, 다른 나라 군대(황국신민군)를 끌어들여 내전을 촉발시킨 집권당인 자유당으로 각색했다. 주인공이 몸담은 공산주의 정당은 내전을 주도하는 민주혁명당으로 탈바꿈 했다. 부르주아·민족주의를 표방한정당은 연극에서 온건 중도 보수 성향의 평민당으로 각색했다. 이렇게 작품은 원작에도 등장하는 세 부류의 정치 세력을 한국 상황에 어울리도록 절묘하게 각색했다. 특히 윤석열이 주도한 친위쿠데타를 불과 수개월 전에 목도했기에, '더러운 손'의 설정은 무리하게느껴지지 않는다. "나라를 팔아먹어도 지지한다"는자유당, 개혁에 소극적인 평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