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서울지하철 4
페이지 정보

본문
캉카스백화점
3일 서울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 일대에서 열린 보수단체 '자유대학' 집회 및 행진에 참석한 이들이 "CHINA OUT"이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문지수 기자 '혐중(嫌中) 시위'가 개천절인 3일 서울 도심 한복판을 점령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백해무익한 자해 행위"(2일 수석보좌관회의)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는 등 여러 차례 혐중 시위에 경고 메시지를 보냈지만, 극우 보수단체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노골적인 혐중 발언을 쏟아냈다. 특히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를 앞둔 상황에서 혐중 시위가 반복되면 중국과의 관계 악화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보수단체 '자유대학'은 이날 오후 2시쯤 '부정선거 원천 무효'를 주장하며 서울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 일대에서 집회를 열고 종로구 광화문 일대까지 행진했다. 보행로와 차로 2개를 점거한 참가자 6,000여 명(오후 4시 30분 기준·경찰 비공식 추산)은 '중국 공산당 OUT'이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차이나 아웃" 구호를 연신 외쳤다. 차량에 탑재된 스피커에선 "짱깨(중국인 비하 발언)는 대한민국에서 꺼져라"는 노랫말이 계속 흘러나왔다.이들은 지난달 29일 시작된 중국인 단체관광객(유커) 무비자 입국 정책에도 강한 반감을 드러냈다. 충북 청주에서 올라왔다는 주은희(67)씨는 "이재명이 무슨 생각으로 중국인을 불러들인 것인지 모르겠다"면서 "중국인은 관광 오는 게 아니다. 불안해 못 살겠다"고 했다. 대학생 전모(22)씨도 "뉴스만 봐도 중국인의 범죄 소식이 끊이질 않는데 (무비자 입국 조치로) 치안이 악화될 게 뻔하다"고 주장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옆 차선을 지나는 버스를 향해 팻말과 태극기를 흔들어보이며 고성을 내지르는 등 과격 행동을 하기도 했다. 3일 서울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 인근에서 열린 자유대학 집회 참가자들이 광화문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다. 뉴시스 추석 연휴 첫날 혐중 집회를 지켜보던 시민들은 귀를 막거나 고개를 내저으며 시위대를 피했다. 나들이를 나온 안영미(56)씨는 "한국인이 보고 듣는 것만으로도 불쾌할 지경"이라며 "중국인 관광객과 상인들은 무슨 죄냐"고 비판했다. 집회 장소 부근에서 과일 가게를 하는 이모(60)씨는 "저렇게 막무가내로 적개심을 드러내는데 중국 전파시험인증센터 건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이버 블로그 캡처 민간업체에 회식비를 전가한 국립전파연구원 소속 전파시험인증센터(인증센터) 공무원들이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재판에 넘겨진다.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3일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감사 결과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인증센터 과장 A씨와 직원 4명의 청탁금지법 위반 사실을 확인하고 관할법원에 과태료 재판을 통보했다.청탁금지법과 관계 법령에 따르면 금품수수액이 100만원 미만일 경우 기소 절차를 거치지 않고 관할법원에서 ‘과태료 재판’으로 다뤄진다.인증센터의 ‘회식비 전가’ 논란은 민간업체 직원이 익명 SNS ‘블라인드’에 글을 올리면서 불거졌다. 이 직원은 “이 기관의 한 부서에서 5월에만 세 차례에 걸쳐 (직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간업체들에 돈을 내게 해 회식을 하게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회식에 참석한 공무원은 본인 인스타그램에 회식 장면을 찍어 올렸다”고 고발했다. 그러면서 “이 기관은 아직도 90년에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고 썼다.‘회식비 전가’ 의혹은 사실로 드러났다. 전파연구원은 블라인드를 통해 불거진 논란을 조사해 사실관계를 확인했지만, 내부적으로는 ‘품위유지 의무 위반’으로만 주의 조치를 내렸다. 그러나 과기정통부는 사안이 중대하고 조사가 미흡하다고 보고 감사를 벌였고, 그 결과 세 차례 중 두 차례의 회식이 청탁금지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다.과기정통부 감사결과에 따르면, 인증센터의 A씨는 올해 3월 과장으로 부임한 뒤 협회와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식사 제안을 받았다. 이후 A씨는 지난 5월15일 이천에 있는 고깃집에서 직원들과 회식을 가졌다. 이때 청구된 비용 54만원을 전파인증 관련 민간협회 부회장 B씨가 결제했다. 같은 달 21일 장어집에서 열린 두 번째 회식의 비용(53만6000원)과 뒤이은 노래방 비용(12만8000원)은 전파인증 관련 기업 관계자가 지불했다.두 차례 회식의 1인당 비용은 각각 6만원, 13만2000원이다. 청탁금지법이 정한 음식물 제공 한도(5만원)을 모두 초과한다.A씨는 감사 과정에서 ‘지인들이 제안한 자리였고 1인당 비용이 5만원을 넘을 줄 몰랐다’는 취지로 해명했지만, 과기정통부는 “고가의 식사를 직무 관련자와 함께하면
캉카스백화점
- 이전글The Ultimate Guide to Hongdae Nightlife Seoul 25.10.03
- 다음글It is not too Late. you can Boost your Brainpower at Any Age 25.10.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